
문화콘텐츠학과(구 ICT콘텐츠학과)
개척하는 지성의 산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GLOBAL RESIDENCE CAMPUS
오늘날 콘텐츠 사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은
콘텐츠의 질과 미디어에 대한 적응력이다. 오늘날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것은 콘텐츠의 질과 미디어에 대한 적응력이다. 우수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개발하는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과 같이. 콘텐츠를 향유자들에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해주는 ICT 기반의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적응력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ICT 콘텐츠학과의 개설을 통해 기존의 콘텐츠에 대한 문화적 - 산업 적 관점의 연구에 ICT 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에 대한 기술적 접근을 융합 함으로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는 학문적 성과를 도출해내고자한다.
이러한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콘텐츠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학문적 기여점을 모색하는 것이 본 학과의 실용적 지향점이다.
문화콘텐츠학과 주임교수 김정우
교원명단
성명 | 전공관련분야 | E-mail 주소 |
---|---|---|
김정우 | 광고 및 브랜드 마케팅 | kkk1223@korea.ac.kr |
안남일 | 스토리텔링 및 축제 기획 | macani@korea.ac.kr |
홍종열 | 문화콘텐츠정책 및 문화경영 | herr_hong@korea.ac.kr |
교과과정
문화콘텐츠학과 교과과정
이수구분 | 학점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교수요목 |
---|---|---|---|---|
논문지도 | 2 | CSA 500 | 논문지도 | 논문지도 |
전공 | 2 | CSA 601 | 콘텐츠장르의이해(I) | 방송, 광고, 출판, 게임 등의 문화콘텐츠 장르별 특성과 현황에 대해 이해하고, 그 발전전략을 모색한다. |
전공 | 2 | CSA 602 | 콘텐츠장르의이해(II) | 공연예술, 축제 등의 문화콘텐츠 장르별 특성과 현황에 대해 이해하고, 그 발전전략을 모색한다. |
전공 | 2 | CSA 605 | 문화원형과스토리텔링 | 문화원형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원형의 콘텐츠화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 개발의 실제를 학습한다. |
전공 | 2 | CSA 608 | 커뮤니케이션의이해 | 콘텐츠 개발의 기반이 되는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 |
전공 | 2 | CSA 609 | 한국의역사콘텐츠 | 국보와 보물을 포함한 주요 유형문화재를 중심으로 한국 역사 콘텐츠에 대해 공부한다. |
전공 | 2 | CSA 612 | 소장품경영과전기획론 | 박물관미술관의 소장품 운영 기법과 전시기획의 기본 개념을 습득하고, 블록버스터 전시 사례를 분석한다. |
전공 | 2 | CSA 615 | 세계문화유산연구 | 유네스코에 등재된 세계 주요 문화유적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통해역사문화 콘텐츠의 현황과 교육, 관광 등의 문화산업에 응용되는 현장의 구체적 사례를 공부한다. |
전공필수 | 2 | CSA 617 | 문화예술콘텐츠론 | 문화예술에 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문화예술 현장에서의 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필수 | 2 | CSA 618 | 문화예술콘텐츠산업론 | 문화예술에 관한 기초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문화예술 현장에서의 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
전공 | 2 | CSA 619 | 문화브랜딩과문화산업 | 오늘의 마케팅에서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문화 분야에서도 문화브랜딩의 구축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좋은 문화 브랜드를 많이 확보할 때 국가의 문화산업의 발전도 원활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우리 문화가 갖는 세계적인 영향력도 커질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마케팅 관점에서 바라본 브랜딩의 개념 위에서 국내외 문화브랜딩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문화산업의 발전 전략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0 | 문화예술경영세미나 | 전통적으로 문화예술은 경영의 대상이 아닌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최근 문화산업의 확대, 기업의 문화예술 관련 투자 증가, 문화적 영향력의 글로벌화 경향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문화예술단체의 경영과 기업의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 경영성과 확대라는 측면에서 문화예술경영을 바라보고 있으며, 이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과 경영의 최적화된 융합 방안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1 | 지역문화예술콘텐츠개발 | 지역마다 갖고 있는 독특한 문화예술 콘텐츠들은 그 지역이 갖고 있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지역민들의 가치관 및 삶의 태도 등이 담겨 있는 소중한 유산이다. 따라서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역의 문화적 유산을 전승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문화예술의 지역성에서 출발하여, 개별 지역에서 보존·전승·향유되고 있는 지역 문화예술 콘텐츠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이 담긴 지역 문화예술 콘텐츠의 가치를 재확인하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2 | 문화예술현장워크샵 | 문화예술은 개별 콘텐츠의 기획 및 개발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의 재연을 통해 향유자들에게 가치 있는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예술 콘텐츠가 재연되고 향유되는 공간인 문화예술현장은 탄탄한 기획과 체계적인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과목에서는 문화예술의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유자들에게는 보다 큰 문화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현장에 대한 사례분석 및 운영 노하우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3 | 글로컬문화예술콘텐츠분석 | 글로컬 문화예술 콘텐츠는 지역적 특색이 살아 있으면서도 세계인들이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말하는 개념이다. 이는 단순히 외국의 문화예술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지역이 갖고 있는 고유의 특색을 가미함으로써 세계인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문화적 경험을 제공한다. 본 과목에서는 세계인들이 공감하는 글로컬 문화예술 콘텐츠의 사례 연구와 함께 이들의 개발 전략 및 제작 과정을 추적해 봄으로써 더욱 영향력 있는 글로컬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의 기반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4 | 문화기획과문화정책 | 문화는 각 국가를 대표하는 소프트 파워이며, 국가의 경쟁력을 이루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선진국들은 앞다투어 적극적인 문화정책을 입안하고 실행함으로써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문화적 선진국들의 문화정책을 비교·분석하고, 국가의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는 문화정책의 개발, 그리고 정책을 기반으로 한 문화기획의 전략 방향 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5 | 축제관광이벤트 | 축제는 지역민들에게는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고취시키고, 관광객들에게는 새로운 즐길 거리를 제공하며, 주최 측에는 브랜드 가치 및 경제적 수익을 안겨준다는 면에서 다방면의 장점을 갖고 있는 행사이다. 본 과목에서는 축제 및 관광에 대한 이론의 탐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찾을 수 있는 축제 및 관광 상품의 개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6 | 공연예술기획및마케팅 | 공연예술은 미디어를 활용하는 여타 콘텐츠와는 달리 현장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작품의 선정, 기획, 공연 준비 등의 과정이 치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거대 자본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케팅적인 성과 역시 중요하게 마련이다. 본 과목에서는 마케팅의 대상으로서의 공연예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국내외 사례, 다양한 장르의 공연들을 대상으로 장단점을 비교·분석하고, 효과적인 기획 및 마케팅의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전공 | 2 | CSA 627 | 케이스스터디연구론(I) | 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과정은 수많은 케이스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안에서 패턴을 찾아 이론화 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시각에 입각해 시기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콘텐츠 관련 케이스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문화콘텐츠의 경향 및 시장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
전공 | 2 | CSA 628 | 케이스스터디연구론(II) | 학문으로서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는 과정은 수많은 케이스들을 수집하여 분석하고, 그 안에서 패턴을 찾아 이론화 시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이러한 학문적 시각에 입각해 시기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콘텐츠 관련 케이스들을 분석해 봄으로써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문화콘텐츠의 경향 및 시장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