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예술학과
개척하는 지성의 산실,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GLOBAL RESIDENCE CAMPUS
문학예술학과는 문학예술의 창조와 교육을 담당할
지도자를 양성해 온 효율적인 교육기관입니다. 문학예술학과에는 문예창작전공과 독서지도전공이 있습니다. 문예창작전공에서는 문화예술계를 주도해 나갈 창조적인 문학예술인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시, 소설, 희곡에 대한 다각적인 창작 수업과 함께 심층적인 이해를 이끌어 내는 비평과 이론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독서지도 전공에서는 독서지도 및 논술지도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에 문화와 글쓰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배양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수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석사학위과정 중 소정의 시험을 거쳐 논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으며, 석사학위 취득 후 일반대학원 박사학위과정으로의 지원이 가능합니다.
문학예술학과 주임교수 박유희
교원명단
성명 | 전공관련분야 | E-mail 주소 |
---|---|---|
홍창수 | 희곡 | dramaway@korea.ac.kr |
이혜원 | 비평 | hwlee3@korea.ac.kr |
박형서 | 현대소설 | maesil@korea.ac.kr |
박유희 | 영상문학 | yhpark01@korea.ac.kr |
하재연 | 현대시 | hahayoun@korea.ac.kr |
교과과정
이수구분 | 학점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교수요목 |
---|---|---|---|---|
선수 | 2 | CSL 401 | 문예학개론 | 문예학의 개념과 학문적 근거, 문예학의 대상, 문예학 방법론을 익힌다. |
선수 | 2 | CSL 402 | 한국현대문학사 | 한국의 현대문학의 전개과정을 살피고 그 구체적인 변화와 생성의 사례를 장르별 작품별로 나누어 고찰한다. |
논문지도 | 2 | CSL 500 | 논문지도 | 논문지도 |
전공 | 2 | CSL 601 | 수사학 | 의사를 효과 있게 전달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인 수사학의 역사와 그 현대적 적용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고찰한다. |
전공 | 2 | CSL 602 | 논리학 | 연역논리학과 귀납논리학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리의 이론을 크게 살피고 그 응용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킨다. |
전공 | 2 | CSL 603 | 문장론 | 문장의 일반이론과 각종 서술의 방법을 익히고 비유와 상징 등의 수사의 기업을 분석,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04 | 문학교육론 | 문학교육방법의 방법을 이해하고 중등학교 국어교재에 수록된 작품을 위주로 하여 현대문학교육의 올바른 방향과 기능을 탐구한다. |
전공 | 2 | CSL 605 | 독서지도론 | 독서방법론을 이해하여 중등학교의 올바른 독서지도 방법을 탐구한다. |
전공 | 2 | CSL 606 | 고전문학사 | 고전문학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그 연구 성과와 문제들을 논의하여 발전적 연구의 전망을 구축한다. |
전공 | 2 | CSL 607 | 문예사조론 | 현대문학에 나타난 문예사조를 그 시대상와 철학적 배경으로 비추어 연구한다 |
전공 | 2 | CSL 608 | 한국문학배경론 | 작품에 의한 사적기술에 중점을 두어 현대문학 전반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게 한다 |
전공 | 2 | CSL 609 | 현대시론 | 작품의 구조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현대소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개관하여 작품의 분석능력을 계발하게 한다. |
전공 | 2 | CSL 610 | 현대소설론 | 작품의 구조 원리를 이해하게 하고 현대소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개관하여 작품의 분석능력을 계발하게 한다. |
전공 | 2 | CSL 611 | 드라마이론 | 드라마의 본질과 장르적 특성, 그 발달과정 등에 대한 이론을 익히는 한편, 영상 및 무대예술로서의 TV와 연극의 감상과 분석능력을 개발한다. |
전공 | 2 | CSL 612 | 문학비평론 | 문학비평에 관한 유형, 유파, 방법론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 연구한다. |
전공 | 2 | CSL 613 | 영상문예이론 | 방송과 영화, 비디오 등 영상미디어를 문학적 측면에서 살펴본 이론을 공부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
전공 | 2 | CSL 614 | 아동문학론 | 동시, 동요, 동화 등 아동문학 장르의 기능과 본질을 익히고 그 이론적 토대를 살핀다. |
전공 | 2 | CSL 615 | 창작심리학 | 작품의 분석과 창작에 현상학적 심리학적 적용가능성을 논의한다. |
전공 | 2 | CSL 616 | 문학사회학 | 문학과 사회제도, 작가의 사회적 위치, 문학적 소재로서의 사회적 현상, 문학의 전달과 공급등, 문학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를 진행한다. |
전공 | 2 | CSL 617 | 출판광고론 | Copy문장을 비롯한 광고홍보문장을 수련하고 매스컴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
전공 | 2 | CSL 618 | 현대시분석 | 현대시의 주요작품들을 선정, 작품의 주제와 형식미, 사회적 성격 등을 중심으로 현대시의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
전공 | 2 | CSL 619 | 현대소설분석 | 현대소설의 주요작품들을 선정, 작품의 주제와 형식미, 사회적 성격 등을 중심으로 현대시의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
전공 | 2 | CSL 620 | 현대시인연구 | 현대문학에 있어서 중요 시인들의 작품, 시인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
전공 | 2 | CSL 621 | 현대작가연구 | 작가 또는 작가들의 집단을 연구하며 그들의 문화배경에 대한 고찰과 함께 연구사적 검토를 중심적으로 분석하여 파악한다. |
전공 | 2 | CSL 622 | 시창작론 | 시창작의 이론 및 창작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창작을 통하여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3 | 소설기술론 | 소설창작의 이론 및 창작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창작을 통하여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4 | 드라마창작론 | 드라마의 본질과 장르적 특성, 그 발달과정 등에 대한 이론을 익히는 한편 영상 및 무대예술로서의 TV와 연극의 감상과 분석능력을 계발하여 작품창작을 유도한다. |
전공 | 2 | CSL 625 | 시창작세미나1 | 시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6 | 시창작세미나2 | 시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7 | 소설창작세미나1 | 소설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8 | 소설창작세미나2 | 소설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29 | 드라마실기 | 각종 드라마의 창작기술론 및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30 | 드라마창작세미나 | 드라마 창작이론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전공 | 2 | CSL 631 | 비평론세미나 | 문예비평은 물론 영화, 연극, 음악, 정치, 사회비평 등의 여역에 걸쳐 비평의 기능과 특성, 그 방법론 등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다. |
전공 | 2 | CSL 632 | 아동문학세미나 | 아동문학창작 이론을 활용하여, 실제적인 습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
전공 | 2 | CSL 633 | 현대문학특수과제1 | 현대문학의 연구에 있어 수시로 제기되는 주제, 문체, 배경에 대한 문체들을 다룬다. |
전공 | 2 | CSL 634 | 현대문학특수과제2 | 현대문학의 연구에 있어 수시로 제기되는 주제, 문체, 배경에 대한 문체들을 다룬다. |
전공 | 2 | CSL 635 | 영상문예실습1 | 라디오 및 TV등의 방송, 방영 등과 관련한 문예적 연습과 기술을 습득한다. |
전공 | 2 | CSL 636 | 영상문예실습2 | 라디오 및 TV등의 방송, 방영 등과 관련한 문예적 연습과 기술을 습득한다. |
전공 | 2 | CSL 637 | 문예창작특수과제1 | 문단등용을 위한 실제적이고 전략적인 창작세미나로서, 문단 데뷔작이나 현상문예 입선작을 분석, 검토한다. |
전공 | 2 | CSL 638 | 문예창작특수과제2 | 문단등용을 위한 실제적이고 전략적인 창작세미나로서, 문단 데뷔작이나 현상문예 입선작을 분석, 검토한다. |
전공 | 2 | CSL 639 | 문예창작특수과제3 | 문단등용을 위한 실제적이고 전략적인 창작세미나로서, 문단 데뷔작이나 현상문예 입선작을 분석, 검토한다. |
전공 | 2 | CSL 640 | 독서지도특수과제 | 독서 계획, 지도방법, 도서 선정 등에 대한 연구를 실제 독서지도에 적용하도록 한다. |
전공 | 2 | CSL 641 | 영상문예특수과제 | 영상 중심의 새로운 글쓰기 방법을 모색한다. |
전공 | 2 | CSL 642 | 철학과독서 | 철학자와 철학 사상을 바탕으로 철학 이론을 독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철학을 통한 사고력 증진과 정확한 분석력을 배양한다. |
전공 | 2 | CSL 643 | 독서지도방법론 | 독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지도방법들을 검토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독서를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 | 2 | CSL 644 | 독서프로그램설계및개발 | 요구 분석, 목표 설정, 자료 개발, 프로그램 시행 및 평가 등의 설계 과정을 통해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을 익히고, 다양한 상황에서 독창적인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 | 2 | CSL 645 | 독서교육과글쓰기 | 독서 과정의 여러 지식이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독서 자료 활용법, 신문 자료 활용법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의 이해와 이 방법들을 통한 글쓰기를 적용하여 교육 현장성을 익힌다. |
전공 | 2 | CSL 646 | 독서교육과정 | 독서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자료를 개발하고 지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교육과정 이론들을 탐구하고, 이를 다양한 실제 상황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전공 | 2 | CSL 647 | 텍스트해석연습 | 초, 중등학교 학생들의 텍스트 해석 발달의 측면에서 읽기 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선수학습내용 및 배경지식의 문제를 탐구한다. 문학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텍스트들에 대한 독서 지도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
전공 | 2 | CSL 648 | 문학연구방법론 | 문학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새로운 문학연구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
전공 | 2 | CSL 649 | 희곡의이론 | 공연예술로서의 희곡 이해와 분석을 통해 연극 예술과 언어 예술의 상호관계를 배운다. |
전공 | 2 | CSL 650 | 희곡창작세미나 | 희곡 창작의 기술들을 배우고 이를 실제 희곡 창작에 적용하여 희곡을 완성해본다. |
전공 | 2 | CSL 651 | 공연예술의이해 | 공연예술에 관한 이론적 지식과 실제 공연 관람을 병행하면서 다양한 공연예술에 대한 이해의 시각을 넓히고 공연을 보는 미적인 안목을 높여 나간다. |
전공 | 2 | CSL 652 | 세계명작희곡 | 동서고금의 주옥같은 희곡들을 읽고 고전의 위대성을 이해하고 분석한다. |
전공 | 2 | CSL 653 | 희곡창작실습 | 다양한 희곡을 읽고 극작의 기초 원리를 익히고 창작 실습을 한다. |
전공 | 2 | CSL 654 | 희곡창작세미나2 | 희곡 창작의 기술들을 배우고 이를 실제 희곡 창작에 적용하여 희곡을 완성해본다. |
전공 | 2 | CSL 655 | 한국희곡의이해 | 한국 희곡 작품들을 시대별로 읽으면서 한국 희곡사적 맥락과 특성 익힌다. |
전공 | 2 | CSL 656 | 한국대표희곡 | 한국의 희곡들 중 양식적으로 변별력이 뚜렷한 대표적인 희곡들을 읽고 그 양식의 특성과 정신을 익힌다. |
전공 | 2 | CSL 657 | 희곡창작특수과제 | 희곡에 관한 전략적이고 실질적인 세미나로서 희곡 당선작들을 읽고 분석한다. |
전공 | 2 | CSL 658 | 공연비평워크샵 | 공연을 직접 관람하고, 그 공연에 대한 분석과 비평의 능력을 익힌다. |
전공 | 2 | CSL 659 | 공연예술특수과제 | 종합예술인 공연예술의 다양한 문제들 중 하나의 테마를 설정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
전공 | 2 | CSL 660 | 아동청소년연극 | 아동 및 청소년 연극의 이해를 위해 다양한 작품들을 읽고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핀다. |
전공 | 2 | CSL 661 | 현대희곡분석 | 현대의 대표적인 희곡들을 분석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전공 | 2 | CSL 662 | 시창작세미나3 | 시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63 | 시창작세미나4 | 시창작의 이론 및 기술을 구체적인 작품의 토론을 통하여 익히고 연습한다. |
전공 | 2 | CSL 664 | 문화비평 | 문화에 대한 비평적 안목을 키우고, 문화를 통해 현대사회의 특성을 이해한다. |
전공 | 2 | CSL 665 | 현대비평연구 | 현대비평의 주요 방법론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문학작품의 해석에 활용한다. |
전공 | 2 | CSL 666 | 영상작가론1 | 영상 매체를 통해 예술성을 구현한 한국의 영상 작가들을 살펴본다. |
전공 | 2 | CSL 667 | 영상작가론2 | 영상 매체를 통해 예술성을 구현한 한국의 영상 작가들을 살펴본다. |
전공 | 2 | CSL 668 | 영상문예세미나1 | 다매체 시대 확장되는 문학 개념에 발맞춰 문학 매체로서의 영상을 이해하기 위해 영상이론의 고전을 강독한다. |
전공 | 2 | CSL 669 | 영상문예세미나2 | 다매체 시대 확장되는 문학 개념에 발맞춰 문학 매체로서의 영상을 이해하기 위해 영상이론의 고전을 강독한다. |